본문 바로가기

전라남도

안빈낙도의 삶 소쇄원

반응형

전남 담양의 소쇄원(瀟灑園)은 조선시대의 문신 양산보(梁山甫 1503~1557)가

스승 조광조의 억울한 죽음으로 원통함과 울분 으로 세상을 등지고

고향으로 내려와 안빈낙도(安貧樂道)의 삶을 살고자 지은 조선시대의 민간정원이다

소쇄원은 그의 호인 맑고 깨끗하다는 뜻의 소쇄옹(瀟灑翁)에서 따온 이름이다

 

 

 

 

 

濟州梁氏之瀟灑園 入口, 글자가 많이 지워져 사진을 확대하고 연구(?)하여 알아냈다

제주양씨지소쇄원 입구,  알고 나니 확실히 보인다 

 

 

 

 

바시락 소리가 들리는 대나무 숲길을 지나서,,,,

 

 

 

 

대봉대(待鳳臺). 손님을 처음 맞이 하는 초가 정자이다

 

 

 

 

 

 

 

 

 

 

 

 

 

 

제월당(霽月堂)은 주인이 거처하는 공간으로 비가 갠 뒤 맑은 달이란 뜻이다

 

 

 

 

 

 

 

 

 

 

 

 

 

 

 

 

 

 

 

 

 

 

 

 

 

애양단(愛陽檀), 애양이란 효경에 나오는 효(孝)를 의미한다는 풀이도 있고

밝은 양의 기운으로 새로운 희망을 준비한다는 의미도 있다고 하니 

한문은 누가 어떡해 해석하는지에 따라 그 의미가 천차만별이다

 

 

 

 

오곡문(五曲門), 오곡이란 주변의 계류가 之자로 다섯 번 돌아 흘러내린다는 뜻으로

그 물이 담장 아래로 흐른다. 글자는 우암 송시열의 글씨라고 한다

 

 

 

 

 

오곡문은 없어지고 물은 담 아래의 구멍으로 흘러 들어온다

 

 

 

 

 

오곡문 바깥쪽, 담장 아래로 물이 흐르고 있었다면 얼마나 보기 좋았을까

 

 

 

 

소쇄처사양공지려(瀟灑處士梁公之廬), 양 씨가 사는 집이란 뜻으로 문패인 셈이다

 

 

 

 

 

광풍각(光風閣)은 비 갠 뒤 해가 뜨면 청량한 바람이 분다는 뜻으로 손님을 위한 사랑방이다

 

 

 

 

 

 

 

 

 

 

 

 

 

 

 

 

 

 

 

 

담장과 나무의 공존

 

 

 

 

 

대나무 숲은 정원보다는 원림(園林)이 맞다고 한다

 

 

 

 

 

 

 

 

철을 잊은 건가 철을 모르는 건가 11월 말인데 철쭉이 몇 송이 피어있다

 

 

 

 

가을 안녕 단풍 안녕

 

 

양산보 소쇄옹은 나중에 이 집을 팔거나 양도하지 말고

후손 어느 한 사람의 소유가 되지 않도록 하라는 유언을 남겼다고 합니다

 

그래서 오늘날 조선시대 정원을 대표하는 문화유산이 되어

후손들이 보고 즐길 수 있는 명소가 되었습니다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