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인천시 인천시 2016. 2. 17. 잠진도 잠진도 인천 영종도에서 차로 건널수 있는 작은 섬이다 차가 없어서 과감하게 차를 세우고 한컷 섬에서 보이는 인천송도지구와 인천대교 부부가 조개잡이에 여념이 없네 노선버스도 들어오는 ... 잠진도 선착장 이곳에서 배를타고 무의도와 영화로도 유명한 실미도를 간다 건너편에 보.. 인천시 2016. 1. 10. 정서진과 아라타워 아라타워 정서진 상징물과 아라뱃길광장 여객터미날 문이 잠겨저 있다 24층 아라타워 서해안 배수갑문 전 정권에서 수십조원을 퍼부어 만든 4대강 사업의 일부 한강을 향하는 일명 아라뱃길 타고자 하는 승객도 없어 뱃길도 개점휴업............ 승객없는 유람선 인천아라뱃길 여객터미날 .. 인천시 2016. 1. 7. 영종대교 기념관 ? 영종대교기념관 아니 휴게소 영종대교기념관을 찾아 왔는데 분위기가 아니다 근무자에게 물었더니 기념관을 찾는 사람이 없어 얼마전에 휴게소로 바뀌었다고 한다,,,,,,,,,,,,,황당 기념관 흔적이 있다 옥상에 망원경이 보이는데 공사중이라 올라가지 못하게 한다 ㅠㅠ 마당에서 영종대교.. 인천시 2015. 12. 17. 인천대교전망대 OCEANSCOPE 인천대교전망대 전망대구조물 OCEANSCOPE 물류운송수단인 컨테이너를 이용하여 항구도시 인천을 나타낸 구조물 이라는 설명이다 뭐라도 발사 해야할 것 같은 분위기도,,,,,,,,,,,, 이곳에서 보이는 인천대교 직선으로 길게만 보이던 교량이 보는 각도에 따라 묘하게 연출 되기도 한다 굽이처 .. 인천시 2015. 12. 8. 인천 월미산 전망대 월미산 전망대,인천 앞바다가 보이는 멋진 전망대 실내 전망대도 카페도 있고 분위기도 좋다 내가 방문한 날은 카페에 아무도 없어서 커피한잔 못 했네 지금 보니 아쉽다 옥상 전망대 옥외전망대에서 보이는 인천항구 인천대교가 보인다 (약 7Km) 월미도 관광지 자동차 수출부두 개인적으.. 인천시 2015. 11. 26. 인천차이나타운 인천의 명물 차이나타운 근처 자유공원에 왔다가 예정에 없이 오게 되었다 예정에 없이 찾아와서 어디가 어딘지 어디에 뭐가 있는지 모르겠다 그동안 다녀 본 길 중에 제일 화려한(?) 거리 급히 스마트폰으로 검색하여 짜장면이 맛있는 집을 찾아서 이곳에서 홀로 식사 내가 시킨 향토짜.. 인천시 2015. 11. 26. 인천자유공원 자유공원은 우리나라 최초의 서구식 공원이다 인천상륙작전의 영웅 맥아더 장군 동상 노병은 죽지 않는다, 다만 사라질 뿐이다 학도 의용군 추모및 기념탑 1883년 인천항 개항하고 1888년 청나라 일본 미국 영국 러시아등 여러나라들이 공동명의로 만국공원을 조성 하였다 1914년 일본에 의.. 인천시 2015. 9. 15. 평화전망대에서 보이는 개성송악산 개성 송악산 제적봉 뒤에 북녁 땅이 파노라마처럼 펼처 있다 개성 송악산과 개성 통신탑 하늘이 도와준 풍경 근무자의 말도 이런 날씨는 일년에 몇번 없단다 시정거리 30Km 사진이 아까워서 중복됨 에도 사진을 전부 올렸습니다 산이 많이 헐 벗어있다 산에 나무가 없는데 드물게 나무와 숲이 우거진 곳은 군사시설이 있는 곳 이란다 망원경으로 보니 사람들은 가끔 보이는데 지나 다니는 자동차나 농사용 기기들은 볼수가 없다 이 각도에서 보이는 송악산은 우리나라 도봉산의 선인봉과 비슷하다 산에 나무들을 땔감으로 사용하여 속살이 다 보이네 날씨가 너무 좋다 날씨가 좋은 날도 운무가 있다던지 물안개가 있다던지 바람이 불어 시야가 가리던지 한다는데 오늘은 정말 축복 받은 날씨란다 군 경계초소와 철조망이 보인다 예로부터 경기 .. 인천시 2015. 9. 10. 교동도 대룡시장 1960~70 년대에서 시간이 멈춘듯 한 교동 대룡시장 1950년도 6월에 5일장보러 황해도 연백에서 배타고 이곳 교동도에 왔다가 전쟁이 터지는 통에 돌아가지 못 한 분들과 전쟁이 나자 잠깐 피신나온 후 돌아 가지 못한 실향민들이 모여서 장사를 시작 한 대룡시장 그러고 보니 다방이 많다 교.. 인천시 2015. 9. 10. 교동도여행 강화 교동도 전에는 배를 타고 건너던 곳 이나 2014년 7월에 교동대교가 개통되어 쉽게 갈수 있게 되었다 해병대의 검문을 받고 출입증을 받아서 다리를 건너야 한다 처음 간 곳이 교동 읍성이다 조선인조 7년 (1629) 길이 430m 로 축성 되었으나 이제는 홍예문만 남아있어 쓸쓸함을 더 해 준.. 이전 1 2 3 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