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충청남도

우리나라에서 가장 존경받는 충무공 이순신 장군 묘

반응형

 

 

우리나라 사람들이 존경하는 인물의 항상 1등을 차지하고 있는 민족의 영웅, 구국의 영웅, 성웅 이순신 장군

충남 아산시 음봉면 고즈넉한 어라산에 잠들어 계신다

 

 

 

 

 

8년 만에 다시 왔는데 묘소 올라가는 길과 주변이 잘 정돈되어 있다

 

 

 

 

 

 

 전에는 없었던 충무재.

최근 2022년에 완공된 재실로 제사 등에 사용하는 집기등을 보관하고 있다

 

 

 

 

 

 

홍살문이 성스럽고 경건한 지역임을 알려준다

 

 

 

 

 

 

사각의 연못 가운데 원형 섬을 조성하는 조선시대의 전형적인 인공연못도 볼 수 있다

 

 

 

 

 

 

주차장에 차를 세우고 500m 정도 걸으면 묘 봉분까지 오른다

 

 

 

 

 

 

 

 

 

 

 

 

정조 어제 신도비각(正祖御製神道碑閣)

정조 18년(1794) 왕이 신하에게 직접 하사한 유일한 어제 신도비이다

 

 

 

 

 

 

비문 상단에 상층정무지비(尙忠旌武之碑) "충의를 드높이고 무용을 드러내는 비"라고 쓰여있다

 

비문 일부 발췌 "우리 장하신 선조께서 나라를 다시 일으킨 공로를 세우심에 기초가 된 것은 오직 충무 한 분의 힘 바로 그것에 의함이라~~~"

 

 

 

 

 

 

이순신은 인종 1년(1545) 음력 3월 8일 서울에서 태어나 임진왜란 때 전라좌도 수군절도사와 삼도수군통제사를 거치면서

일본 왜적과의 싸움을 모두 승리로 이끌었다 선조 31년(1598) 조선에서 퇴각하는 왜군과 노량에서 맞서 싸우다

54세를 일기로 11월 19일 남해 관음포에서 전사하였다.

고금도에 모셨다가 이듬해에 아산시 금성산에 이장되고 16년 후인 광해군 6년 (1614) 이곳으로 안장되고

1963년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묘는 이순신 장군과 부인 상주 방 씨 방수진의 합장묘이다

 

 

 

 

 

 

좌측 묘비는 1720년 건립된 묘비로 1776년(영조 52)에 내용이 추가로 기록되었다고 쓰여있고

우측의 묘비는 1998년 충무공 순국 400주년을 맞이하여 후손들이 세운 비이다

 

 

 

 

 

 

둘레석 글자

향 내병 외정 (向 內丙 外丁) 봉분의 방향이 새겨져 있다

 

 

 

 

 

 

"충무 덕수이공지묘 정경부인 상주방 씨 부좌" 글이 쓰여있다

 

 

 

 

 

 

석양은 아직도 침통한 모습이다

 

 

 

 

 

 

 

 

 

 

 

 

아산 음봉면 삼거리 묘소 입구 삼거리 이충무공 신도비

이순신의 외손자 홍우기가 영의정 김육에게 청하여 숙종 19년(1693) 때 세워졌다

 

 

 

 

 

 

글은 김육이 짓고 글씨는 오준이 썼으며 거북 모양의 받침돌과 용을 조각한 머릿돌을 얹었다

 

 

 

 

 

 

비문에는 "임진왜란 때 도원수 권율과 통제사 이순신 두 분이 없었다면 나라를 구하지 못했을 텐데

도원수 무덤에는 큰 비석이 있지만 통제사의 무덤에는 아직도 사적을 기록한 비문이 없어 여러 선비들이 유감으로 여긴다"라고 쓰여있다

 

 

 

항상 존경하는 역사 인물 1등을 차지하는 이순신 장군인데 사당 현충사를 찾는 분들은 많은데

8Km 정도 떨어진 이곳 묘소를 찾는 사람들은 적다고 합니다

존경하는 분의 묘소는 한번 정도는 찾아뵌다는 마음으로 많은 분들이 찾아오셨으면 합니다

 

 (이순신장군 묘소 정보)

 

주소 충남 아산시 음봉면 삼거리 산 2-1

전화, 041) 543-2819

무료 주차장 

매주 월요일 휴무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