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강원도 강원도 2024. 5. 23. 고즈넉한 산사 홍천 공작산 수타사 강원도 홍천 수타사는 708년(신라성덕 7)에 창건되어 이건과 임진왜란 때 방화로 불탄 후 중건 등을 걸쳐1811년(순조 11)에 현재의 이름으로 바뀌어서 오늘날에 이른 천년 고찰이다 수타사는 풍수지리적으로 공작포란지지(孔雀抱卵之地)의 명당에 자리하고 있다 수타사는 흔하게 절에 있는 일주문이 없이 바로 사천왕문( 봉화문)으로 들어선다 공작산은 산 정상에서 홍천군 일대를 바라보면 공작이 날개를 펼친 모습을 닮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수타사 이름의 설화창건당시에는 일월사(日月寺)였으나 1457년 세조 때 이곳으로 옮겨 오면서 사찰옆에 큰 내천이 있어 물이 떨어지는 절 水墮寺(물 수 떨어질 타)라고 이름을 바꾸니 매년 승려가 한 명씩 물에 빠져 죽는 사고가 발생하였다그래서.. 강원도 2024. 5. 19. 등산도 하고 꽃도 보고 척야산 수목원 강원도 홍천 척야산에 잘 가꾸어진 수목원이 있다 하여 먼 길을 나섰다 척야산은 해발 403m의 높지 않은 산이고 거리는 왕복 최단거리가 3.1km이나 구석구석을 좌우를 살피고왔다 갔다 들락날락하다 보니 약 5km를 걸었다 출발 처음 만나는 청로각 주변의 풍경이 좋다 척야산 아래 흐르는 내촌천 꽃이 늦게 피는 강원도 답게 진달래 철쭉 연산홍등이 같이 피어있어 아름다움이 더하다 걷는 산길에 좌우에 예쁜 꽃들이 있어 힘든 줄 모르고 산을 오르게 된다 요망대(暸望臺) 고구려 산성의 전방지휘소를 재현하였는데 설명글에 중요한 글이 있어 발췌하였다 강.. 강원도 2024. 5. 9. 맑은 산소를 듬뿍 수타산 O2(산소)길 강원도 홍천 수타산 산소길의 봄 공작산 수타사 생태숲부터 산소길은 시작된다 싱그러운 아침에 걷는 숲길 힐링이다 생태숲부터 3.8Km 길을 가꾸어 산소길이라고 한다 아침의 잔잔한 연못이 예쁜 반영을 보여준다 천천히 아주 천천히 걸어간다 무슨 나무인가 궁금하였는데 마침 나무를 손보고 있던 관리인이 서양배 나무라고 알려준다 조팝나무 만첩홍도 아침에 걷는 숲길이 푸르른 내음과 코끝에서 느끼는 싱그러움이 너무 좋았습니다강원도 홍천 깊은 산속에 있어서 사람도 많지 않아 유유자적 천천히 .. 강원도 2024. 3. 28. 예술 복합 공간 하슬라 아트월드 강원도 강릉의 옛말인 하슬라와 복합 예술공간이 만나 하슬라 아트월드가 탄생되었다 강릉 하슬라 아트월드는 갤러리 겸 호텔이며 박신정 최옥영 부부 조각가가 여러 테마공간을 직접 설계하여 예술 공간을 만들었다 1층에 들어서면 카페와 아트샵 그리고 전시실이 있다 수많은 작품들이 있으나 나 같은 미술의 문외한은 난해하고 보아도 모르기 때문에 그냥 둘러보기만 한다 나는 위의 빨간 사람보다 아래에 있는 사람이 더 무섭다 비닐 빨간 끈으로 만든 작품 빨간 끈이 얼마나 많이 들어간 거야 파이프 터널 피노키오는 성인이 되어서도 코가 길었나 보네 사람은 거짓말을 하면 안 됩니다 사람이 앞에 서면 움직이는 마리오네트인형 큐레이터 같이 폼 잡고,,, 인증샷은 와이프가 옥상에서 동해바다를 배경으로 아는 만큼 보인다는 말이 새삼 .. 강원도 2024. 3. 17. 대관령 황태덕장도 눈이 너무 많이와서,,, 강원도 황태덕장의 겨울이 올해는 눈이 너무 많이 와서 고생이 심하다고 한다 덕장 관리인에게 사진 몇 장 찍을 수 있겠느냐고 부탁을 하니 허락은 해 주는데 보다시피 눈이 많이 쌓여있어 들어와서 찍을 수 있겠냐고 한다 눈이 무릎정도 쌓여있어 움직일 수가 없다 하는 수 없이 망원 렌즈로 바꿔서 멀리서 몇 장 찍을 수밖에 없다 강원도 황태덕장이 유명한 이유는 추운 겨울에 얼었다 녹았다를 반복하고 눈도 쌓였다 녹았다 해서 명태가 품질 좋은 황태로 변하는데 올해는 눈이 너무 많이 쌓여서 이불 보온 효과가 생겨 눈을 털어 내는 작업을 해야 한단다 작업자들이 눈을 털어 내는 옆에서 사진을 찍기가 미안하다 눈을 털어낸 위치에서 몇장 더 작년에도 만났던 덕장관리인인데 촬영허락을 하면 조용히 사진만 찍고 가면 좋은데 물건에.. 강원도 2024. 3. 14. 대관령 양떼목장의 폭설 강원도에 또 눈이 왔다 눈 내린 다음날 강원도 도로 사정을 알지 못해서 내심 겁이 나기도 하지만 새벽길을 달려 대관령 양떼 목장 설경을 보러 왔다 대관령 양떼목장은 1988년 우리나라 최초 관광용으로 만들어진 목장이다 입장료는 성인 7천원 경로 4천원 날씨가 잔뜩 흐려 눈이 금방 내릴 것 같은 날씨라 그런지 방문객이 별로 없다 이날은 날씨가 너무 변화무쌍하게 변하여 하늘이 잠시 가만히 있지를 않는다 사진 찍기가 너무 안 좋다 평시에는 앞의 산 능선까지 올라갈 수 있지만 오늘은 눈이 허벅지까지 쌓여있어 갈 수가 없다 축사에는 눈 속에서 고요함만 흐른다 크리스마스트리? 변화무쌍한 날씨가 계속 겁(?)을 준다 능선의 움막이 사진의 핫 플레이스인데 겨우 한 사람 지나갈 수 있다 산책길이 예뻐 보이는데 눈이 쌓여.. 강원도 2024. 3. 7. 눈속의 금강산 화암사 강원도 설악산에서 미시령 건너편에 성인대 산 아래 화암사도 겨울 경치가 유명한 곳이다 올해 눈이 많이 온 강원도 답게 화암사에도 눈이 무지하게 쌓여있다 주차장에서 1km 정도를 올라가야 한다 5 남매를 둔 애국자 눈사람 가족 딸 둘 낳고 아들 셋을 내리 낳았네 단천이 보는 시각 ㅎㅎ 계곡에도 물소리가 들리는 걸 보니 봄은 오긴 오려나보다 이 바위 옆으로 성인대로 오르는 등산로가 있는데 폭설로 입산금지이다 눈 속의 부도탑 눈 속에 화암사가 있다 대웅전 오르는 계단 대웅전 마당에도 눈이 가득하다 화암사(花巖寺)는 769(신라 36대 혜공왕 5) 진표(眞表)가 창건하고 금강산 화암사라고 하였으니 천년이 넘은 고찰이다 화암사 마당에서 보이는 수바위 수바위에는 구멍이 하나 있었는데 끼니때마다 지팡이를 넣고 세 번.. 강원도 2024. 3. 4. 눈속에 묻힌 설악산 신흥사 올해 잦은 눈으로 적설량이 많은 설악산 소공원과 신흥사를 찾아서 눈 속에 묻혀 본다 눈 속의 신흥사 전경 한사람도 안 보인다 (케이블카에서 촬영) 설악산 곰 앞에는 인증샷을 남기기 위하여 많은 사람들의 줄 서있는 그림자가 보인다 이렇게 찍으면 간단히 해결 되는데,,, 설악산 신흥사 10년의 제작기간을 걸친 14.6m 세계 최대의 청동대불도 눈 속에서 겨울을 보낸다 길바닥에 쌓인 눈을 보니 얼마나 많은 눈이 왔는지 알 수 있다 신흥사 가는 길 다리 위에도 겨우 사람만 통행할 수 있게 눈을 치웠다 사찰 담장에 쌓인 눈 사찰 마당도 통행만 할 수 있게 눈길을 만들었다 아무도 건드리지 않은 순백의 아름다움 고드름이 아닌 눈드름이 만들어지고 있다 인증샷은 쌓인 눈과 비교되는 눈드름(?) 아래 와이프 모습으로 오랜.. 강원도 2024. 3. 1. 설악산 권금성은 폭설로 등반 통제 설악산 케이블카는 항상 사람이 많아 대기 시간이 길다 언젠가는 몇 시간 대기라서 돌아선 적도 있어서 오늘은 권금성에 올라 눈구경을 하려고 새벽에 일어나 아침도 안 먹고 설악산으로 들어갔다 많은 눈이 설악산 입구를 막고 있고 관리인 두 사람이 눈과 싸우고 있다 안 좋은 소식을 접한다 케이블카는 운행을 하는데 권금성의 눈이 많이 쌓여 산행은 통제란다 그래도 요금(일반 15,000원 경로 13,500)은 정상으로 지불하고 올라갔다 내려오려면 타고 싫으면 말라고 안내 방송을 한다 천재지변으로 사정이 생기면 요금이라도 할인해 주었으면 얼마나 좋을까 서울서 설악산까지 와서 숙박까지 했는데 아까워서 그냥 타기로 한다 9시 정각 첫 번째 케이블카를 탄다 케이블카에서 보는 설악산이 환상이다 권금성 정류장에서만 머물러야 .. 강원도 2024. 1. 25. 철마는 달리고 싶다 월정리역 월정리역(폐역)은 비무장지대 남방한계선 가장 가까이 있는 마지막 기차역이다 6.25 전쟁 당시 가장 치열한 전투가 있었던 철의 삼각지대 위치하여 처절했던 그날의 흔적이 그대로 남아있는 역사의 현장이다 전에 왔을때는 좀 지저분 하더니 건물을 보수 하여 깨끗하기는 한데 옛 정취가 없어서 아쉬움을 준다 월정리역은 서울 용산 기점 104 Km에 있고 월정리역에서 철원 5Km 가곡 10Km이다 6.25 전쟁 때 북한군이 철수하면서 열차의 앞부분만 가지고 가서 객차로 쓰이는 뒷부분은 수많은 총탄을 맞고 녹이 슨 채로 남아있다 기차가 형체도 알아볼 수가 없다 무수한 총탄 자국이 전쟁의 참혹함을 말해 주고 골격만 남은 기차가 세월을 말 해 준다 앞에 보이는 둔덕이 DMZ 경계선이고 바로 옆에 군인들이 출입하는 통문(촬.. 이전 1 2 3 4 5 ··· 16 다음 반응형